에너지 캐시백 사업에 대해서 알아보자
·
경제
산업통상자원부가 일부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진행했던 에너지캐시백 사업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에너지 캐시백 사업은 지난 22년 1월 24일부터 2월 28일까지 약 한 달 동안 진행했던 시범사업이였습니다. 에너지 캐시백 사업 에어지 캐시백 사업은 전체 참여 세대와 단지의 평균 절감률보다 높은 세대와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진행했습니다. 해당 절감량에 상응하는 에너지캐시백을 6개월 단위로 지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아파트 단지에서 절감량에 해당하는 구간별로 20만원부터 400만원가지 아파트 세대에서 에너지를 절감(전기 1kWh당 30원을 캐시백 받을 수 있습니다. 에너지 캐시백 사업에 참여를 하기 위해서 신청하려는 세대, 아파트 단지는 한전 에너지마켓플레이스를 통해서 신청할 수 있다고 합니다...
2023 최저임금 인상 확정
·
경제
최저임금위원회를 통해서 내년 2023년 최저임금 인상 확정이 되었다는 발표 소식입니다. 내년부터 최저임금이 올해(2022)보다 5.0% 오른 시간당 9,62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최저임금을 심의, 의결하는 사회적 대화 기구, 최저임금위원회가 지난달 6월 29일 확정발표를 했습니다. 2023 최저임금 2023 최저임금은 22년보다 460원 이상되어 9,62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급은 8시간 기준 77,120원이고 월급은 주 40시간, 유급주휴 8시간을 포함했을 때 2,010,580원으로 처음으로 200만 원 이상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2 최저임금 2022년 적용 최저입금은 9,160원으로 전년(2021)보다 440원 이상 인상되었었습니다. 일급은 8시간 기준으로 73,280원이고 월급은..
MZ세대 뜻과 나이, 특징과 마케팅 방법
·
경제
MZ세대 뜻과 나이, 특징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시대가 빠르게 변화하는 MZ 세대의 트렌드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변화하는 시대의 MZ세대 트렌드를 공부하고 시대에 맞는 사업, 투자, 마케팅에 성공해보세요. MZ세대 뜻, 나이 MZ세대라는 신조어(?)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MZ세대는 Y세대와 Z세대를 묶어서 부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Y세대는 밀레니얼 세대입니다. MZ 세대는 20~39세까지오 198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반 출생까지를 묶어서 부른다고 합니다. 정말 특별할 것 없는 뜻이며, 너무 포괄적인 세대까지 묶어놓았는데요. 이는 스마트폰, 디지털 미디어 기기에 익숙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서 소통이 자연스러운 세대들이라고 합니다.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MZ세대는..
윔블던 효과에 대해서 꼭 알아야 하는 이유
·
경제/반드시 알아야 할 경제용어
윔블던의 경제학으로 '윔블던'이라는 단어는 테니스 대회, 세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테니스 대회로 종주국인 영국에서 여름마다 열립니다. 올해는 22년 6월 27일부터 7월 10일까지 2주정도 진행됩니다. 대회는 절정에 가까워지면 열기사 점점 뜨거워지는데요. 그래서 테니스 대회 '윔블던'이 경제적으로 무슨 의미가 있다는 걸까요? 윔블던 효과에 대해서 꼭 알아야 하는 이유 세계 4대 메이저 테니스 대회 '윔블던'은 경제학적으로 의미가 있습니다. 윔블던 효과라는 경제 용어와 관계가 있기 때문인데요. 윔블던 효과(Wimbledon effect)란? 윔블던 효과를 배우기 위해서는 윔블던 테니스 대회의 성격을 알면 좋습니다. 세계 최고의 대회이면서 가장 권위가 있는 대회로 매년 런던 교외에 위치하고 있..
디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자
·
경제/반드시 알아야 할 경제용어
코로나19, 러우전쟁으로 세계 경제가 장기 침체되면서 초 인플레이션이 현상이 계속 지속되고 있습니다. 기준금리, 미국 화폐 인상, 기름값, 식자재까지 안오르는게 없는 상황입니다. 러우전쟁이 언제 끝날지는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현재 상황이 언제 나아질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디플레이션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정반대의 개념입니다.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화폐의 가치는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뜻합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시장물가는 낮아지고 화폐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에 디플레이션이 좋아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디플레이션은 급격한 거품경제가 끝나면서 경제 침체가 이어시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꾸준히 일정량의 경제 성장을 이뤄나가야 하는 현시대의 경제 시슴템에서 매우 큰 손해를 입힐 수 있는 상황이되..
2022 연봉 실수령액표 확인, 세전세후 계산방법
·
경제
2022년 6월 마지막 주가 지나고 있습니다. `22년 하반기가 지나면서 본인의 연봉에 대한 실수령액은 얼마나 되는지 직접 확인해보세요. 연봉 실수령액을 보면 최저임금 1,833,333 받는 경우 연봉은 2,200만원 정도가 되는데 여기서 공제되는 금액이 약 18만원 가량됩니다. 2022 연봉 실수령액표 월급을 183만원을 받아도 실제로 수령하게 되는 금액은 165만원이 되네요. 한번 월급 166만원으로 기준금리는 멈출지 모르고 오르고, 인플레이션으로 물가가치 상승과 동시에 화폐가치는 하락하고 정말 답답할 수 밖에 없네요. 2022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는 네이버에 있는데 연봉에 본인 원급을 입력하면 바로 얼마를 받을 수 있는 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통 비과세액은 120만원으로 월..
스테픈의 대항마 M2E 스니커즈(SNKRZ)를 소개합니다
·
경제/암호화폐
스테픈의 대항마로 불리는 M2E 스니커즈를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스테픈은 아시는 분들은 대부분 알고 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걷기만해도 하루 100~200만원 수익을 내는 사람도 있고, M2E는 한국에서 불법이 아닌 합법적인 프로젝트라서 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는것 같습니다. 스니커즈(SNKRZ) 스니커즈는 블록체인과 NFT를 이용한 기술을 이용한 채굴방식을 도입한 게임이라고 소개하면 조금 이해하기 쉬우실 것 같네요. 블록체인이 노드를 가지고 채굴을 하는 것처럼 스니커즈도 NFT(신발)을 가지고 걷거나 달리면서 토큰을 채굴할 수 있습니다. 게임과 블록체인 채굴을 결합한 P2E가 대표적인데 사실 국내에서는 불법이기 때문에 못한다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스니커즈는 Move to Earn(M2E), 움직이면..
4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
경제/경제뉴스
4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3월)보다 낮아졌지만 여전히 전체적으로 볼 때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국 노동부는 4월 CPI가 전년 동월과 비교했을 때 8.3%가 상승했다고 발표합니다. 이로 인해 세계 경제와 한국 경제에 미치게 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4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원(22년 3월)대비 8.5% 상승해 1981년 12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4월에는 CPI가 8개월 만에 상승세가 둔화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물가상승률은 여전히 시장 전망치를 크게 넘어선 상태며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압박은 더욱 강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은 기준금리를..
소비자물가지수(CPI)를 꼭 알아둬야 하는 이유
·
경제/반드시 알아야 할 경제용어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알아둬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미국소비자물가지수와 우리가 주식, 블록체인 시장, 원자재에 투자하기 위해서라도 소비자물가지수를 알아두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 소비자물자지수는 일반가구가 소비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각종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거나 소비할 때 가격변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작성하는 물가지표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소비자물가지수를 통계청에서 작성하며, 기준년을 100으로 잡고 작성합니다. 조사대상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성, 가중치까지 경제상황에 맞게 주기적으로 조정한다고 합니다. 현재까지 40여개 가계의 총 소비지출에서 구입비중이 큰 500여개의 상품과 서비스 품목을 대상으로 한 조사가 끝난 소비자 구입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경제고통지수를 꼭 알아둬야 하는 이유
·
경제/반드시 알아야 할 경제용어
경제고통지수(misery index)를 숙지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지금부터 알아보자. 경제고통지수는 보통 뉴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이 경제고통지수를 잘 배워두면 투자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경제고통지수(misery index) 경제고통지수(misery index , 經濟苦痛指數)는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 삶의 질을 계량화해 수치로 나타낸 것을 뜻합니다. 보통 경제고통지수는 고통지수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일정 기간 동안의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합해서 나타내는 수치로 국민이 피부로 느낄 정도로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화하여서 수치로 볼 수 있게 만든 것입니다.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오쿤'이라는 사람이 고안해 낸 경제지표이며, 기상 용어인 부쾌지수의 개념을 가져다 차용했다고 합니다. ..
공매도란? 작전에 당하지 않기 위해서 꼭 알아둬야 할 점
·
경제/반드시 알아야 할 경제용어
2022년 5월 월가에서 블록체인 시장을 공격한다. 그 대상은 테라-루나 코인, 도권 대표는 월가의 공격으로 결국 루나 코인 상폐까지 몰린다. 공매도는 주식에서 쓰이는 용어인 줄 알았지만 블록체인 코인(토큰) 시장에서도 볼 수 있었다는 것은 충격적이었습니다. 이번 사태로 고래가 고래를 공격하고 개미들까지 몰살되었던 공매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루나 코인의 충격적인 소식은 다음 글을 통해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비트코인 전망 그리고 루나코인(암호화폐, 가상화폐) 이슈 'D' 커뮤니티에서 올라온 현재 비트코인, 암호화폐(가상화폐) 시장에 대해서 재미있는 관점으로 본 글쓴이의 글을 참고해작성했습니다. 소름끼칠 정도로 정확하고 맞는 점이 많아 앞으로 코인 onews.kr 공매도란? 공매도는 주식을 보유하고 ..
SNKRZ(스니커즈), W2E NFT에 대해서 알아보자
·
경제/암호화폐
코인시장은 암흑기이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는 NFT W2E 신규프로젝트 스니커즈(SNKRS)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W2E 스니커즈 NFT에 열광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스니커즈는 메타버스 상의 신발에 해당하는 SNKRS NFT를 신고 달릴 수 있는 SNKRZ APP을 가지고 GPS 등 다양한 센서를 활용해서 운동정보를 기록하고 나의 기본 건간정보를 활용해 걸음 수, 칼로리 소모를 비롯한 다양한 운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니커즈는 타 M2E와 다르게 걷기, 달리기 외 사이클, 하이킹(자전거, 등산)모드도 있어 더 다양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건강을 위한 앱이지만 사람들이 열광하는 이유는 토큰을 채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스니커즈(SNKRZ)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