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발의한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을 위한 특별조치법(전국민 25만원 지원법)'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했습니다.
31일 국회 법사위는 전체회의를 통해 이 법안에 대한 토론을 마치고 거수표결을 진행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등 야당 의원들만 찬성하면서 법안이 처리되었습니다.
전국민 25만원 지급 법안의 주요 내용
반응형
- 지원금 지급: 법 공포 후 3개월 내에 전국민에게 25만 원에서 35만 원을 지역사랑상품권 형태로 지급합니다.
- 예산 추계: 국회예산정책처의 추계에 따르면, 6월 인구 기준(5,127만 명)으로 1인당 25만 원씩 지급할 경우 약 12조 8천193억 원이 필요합니다.
- 지급 방식: 지급된 상품권은 지급일로부터 4개월 이내에 사용해야 합니다.
- 지급일: 빠르면 11월초에 지급되고, 늦으면 24년 12월이나 25년 1월로 예상됩니다.
법안에 대한 반발과 비판
- 국민의힘 반대: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 법안이 헌법 체계와 맞지 않으며, 국채 발행 등으로 재정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한, 물가 상승과 같은 부작용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 여론: 한국갤럽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51%가 이 법안에 반대하고 있으며, 43%가 찬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지 정당과 이념 성향에 따라 찬반 의견이 크게 엇갈리고 있습니다.
전국민 25만원 지급 지원으로 인한 경제 효과는?
반응형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소비 촉진, 경제 활성화와 승수효과, 사회적 안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 어떻게 될지 확신할 수 없지만 물가 상승 압력, 국가 재정 부담, 효율성 논란 등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소비를 촉진하고 경제 활성화를 시켜 활력을 돋게 만드는데 성공하면 긍정적인 시나리오는 효과가 좋습니다. 하지만 실패하게 되면 물가 상승, 재정 부담 여파등 부정적인 측면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긍정적 효과
- 소비 촉진 및 경제 활성화
- 25만원 지원금은 신용카드나 지역화폐로 지급되며, 사용 기한이 정해져 있어 소비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제 활성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국민 지원금이 소비 증대와 경제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사례가 있습니다.
- 지원금이 지역사랑상품권 형태로 지급되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승수효과
- 경제학에서 승수효과란 정부 지출이 국민 소득을 증가시키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25만원 지원금이 소비로 이어지면, 그 소비가 다시 다른 사람들의 소득으로 돌아가면서 경제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사회적 안정
-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에게 직접적인 재정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안정과 복지 수준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경제적 불평등을 완화하고, 취약계층의 생활 안정을 도울 수 있습니다.
부정적 효과
- 물가 상승 압력
- 일부 경제학자들은 25만원 지원금이 수요를 증가시켜 물가 상승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현재의 경제 상황에서 물가가 이미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소비 증대는 인플레이션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재정 부담
- 25만원 지원금 지급을 위해서는 약 12조 8천193억원의 재정이 필요합니다. 이는 국채 발행 등으로 재원을 마련해야 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국가 재정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 효율성 논란
- 무차별적인 현금 지원보다는 선별적인 지원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려운 계층에게 직접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으며, 무차별적인 지원은 정책적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전국민 25만원 지급 신청 방법 및 지급일
시행 시기는 법안이 공포된 후 3개월 이내 지급됩니다. 전국민에게 지역사랑상품권 형태로 25만원, 저소득층은 35만원이 지급될 계획입니다. 법안 통과 일정이 2024년 7월 3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했는데요. 빠르면 8월 1일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될 수 있습니다.
8월 1일에 처리가 된다고 가정하면 11월초, 중순이나 늦어도 12월 이내 지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추가로 통과된 법안
- 노란봉투법: 하도급 노동자에 대한 원청 책임을 강화하고 쟁의행위 범위를 확대하며, 파업 노동자에 대한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는 내용이 포함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2·3조 개정안도 함께 의결되었습니다[1][6].
민주당은 이 법안을 내달 1일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본회의에서 처리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이에 대해 필리버스터 등 대응 조치를 예고하고 있어, 향후 논의가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됩니다.
함께 읽어보면 도움되는 글
반응형
교차형 무한